우주협력 협정 체결 합의…탐사선 등 핵심기술 습득 기대

▲ 문해주 미래창조과학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전국뉴스] 최근 화성 지표면에 소금기가 있는 물이 흐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이 보낸 화성 탐사 궤도선이 화성 지표면을 정밀 관측한 결과다. 미국, 러시아, 유럽, 인도 등 인류의 오랜 화성 탐사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꼽힌다.

 

이밖에도 경이로운 우주 탐사 결과들이 최근 많이 소개되고 있다. 9년 동안의 길고 긴 여정 끝에 태양계의 끝 명왕성을 통과한 뉴호라이즌스, 지구와 화성 중간 지점 등을 돌고 있는 혜성을 쫓아가 착륙한 로제타와 필레 등. 오랜 투자와 인내의 결과다. 그야말로 우주 대항해 시대가 열리고 있다.

우주 탐사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국가 간 우주 협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주 선진국들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위험 분산을 위해 공조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국제 간 공조는 한 국가가 감당하기에 부담스러운 천문학적인 비용을 분담하고, 기술적 난제를 극복하기에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유럽과 러시아가 10억 유로에 달하는 비용과 로버 개발, 탐사선 발사 등이 필요한 화성탐사 프로젝트 ‘엑소마스(ExoMars)’를 공동 진행하고 있는 것이 좋은 예다. 달 탐사를 준비하고 있는 우리나라에게도 우주 분야 국제 협력은 중요하고 당위적인 과제다.

그런데 국가 간 우주 협력은 시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서로 수긍할 수 있는 협력의 이유가 있어야 한다. 상호 호혜를 전제로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우주 선진국들이 추구하는 상호 호혜적 협력에 가세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는 우주선진국에 비해 우주개발을 30여년 늦게 시작했다. 하지만 빠른 성장을 통해 현재 세계 6~7위권의 인공위성 기술국으로 평가받는다. 인공위성은 우주 탐사선과 상당부분 기술적 공통점이 있다.

발사체 분야에서도 나로호 개발을 통해 쌓은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독자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다. 독자 발사체 개발에 성공하면 자력으로 우주를 드나들 수 있는 수송수단을 가진 국가로 거듭난다. 우주 탐사선과 수송수단의 확보는 경제 규모와 더불어 우리나라가 우주개발 국제협력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적인 뒷받침이 된다.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달 탐사는 한국형발사체를 통해 2020년까지 무인 궤도선과 착륙선, 로버를 독자 기술로 보낸다는 것이다. 다만 고난이도의 우주 탐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2020년 이전에 시험용 달 궤도선을 보낼 계획도 마련해 뒀다. 우리는 이 시험용 궤도선을 미국과 함께 추진하기 위해 미국과 달탐사 분야 협력을 논의해 왔다.

미국과의 달탐사 협력은 우리나라의 우주 탐사 능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협력을 통해 우리에게 필요한 탐사선의 핵심 기술이나 심우주 통신 기술 등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다.

나로호개발사업, 우주인 사업 등 그동안 우리나라가 추진한 큰 규모의 우주 분야 국제협력은 주로 러시아와 진행됐다. 미국과는 1990년대 초반 다목적실용위성 1호 개발 과정에서 미국 TRW사와 협력한 이래 위성 부품 등 상업적 협력을 지속해 오고 있지만 국가 차원에서 진행한 대규모의 협력은 많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에는 정부 간 한미 우주협력회의, 우주정책회의가 개최되어 양국 간 정책당국자 및 전문가들이 우주협력 강화 필요성과 방안들을 논의하는 상황으로 발전했다.

이번 대통령의 미국 순방 기간 중에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Goddard Space Flight Center)를 방문하기도 했다. 우리나라 대통령이 NASA의 우주센터를 방문한 것은 지난 1965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케네디 우주센터를 방문한 이후 50년만이다.

고다드 우주비행센터를 방문하는 동안 국제우주정거장 선장인 스콧 켈리(Scott Kelly)가 보낸 환영 영상 시청, NASA의 달과 화성탐사에 대한 브리핑, 그간 한미 양국 연구자간 진행한 협력 사업에 대한 소개, 위성로봇 연구시설 시찰, 위성로봇 시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대통령은 이번 방문에서 한미 우주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앞으로 확대될 양국 우주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실제로 이번 미국 순방을 계기로 우주탐사, 기상예보, 환경 및 해양 위성 활용, 청소년 우주 과학문화 확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양국 간 협력이 확대될 계획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미 우주협력 협정을 조속한 시일 내에 체결한다는 합의다.

정부 간 협정은 보통 국가 간 협력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마련하는, 일종의 협력을 위한 가이드라인이라 할 수 있다. 협정 체결의 의미는 양국이 우주개발에 있어 상호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파트너로 서로를 공식 인정한다는 것이다. 정부 간 협정이 체결되면 양국은 협정에 근거해서 우주탐사, 위성개발과 운용, 지구관측 등 우주개발 전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추진하게 될 것이다.

1960~70년대 미국이 달 탐사에 나서면서 미국은 소련에 뒤졌던 우주개발과 미사일 기술도 추월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때 투자한 비용의 7배에 달하는 경제 파급효과가 창출되었다고 훗날 평가 하고 있다.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이 10년 내에 사람을 달에 보내겠다고 했을 때 아무도 믿지 않았다. 케네디 대통령은 달에 가는 것이 쉽기 때문이 아니라 어렵기 때문에 미국은 달에 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우리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우주기술은 최첨단 기술의 결정체로 산업측면에서도 여러 분야에 파급되어 새로운 시장과 고용을 창출 할 수 있다. 가야 할 길은 아주 멀지만 반드시 가야 하는 이유다.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말이 있다. 이런 맥락에서 세계 최강의 우주 기술국인 미국과의 협력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앞으로 양국이 함께 만들어갈 우주개발의 미래가 기대된다.

저작권자 © 전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