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이 중앙행정기관 이전보다 더 큰 경제적 파급 효과

지난 1월 11일 정부가 발표한 발전안은 행복도시안보다 세종시 자족기능이 한층 강화돼 있다. 정부는 세종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이 중앙행정기관 이전보다 더 큰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 이를 통해 실효성 있는 지역균형발전의 초석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행정기관 이전으로는 국가균형발전 어려워

일부에서는 정부가 중앙행정기관 이전을 번복해 지역 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해소라는 행정중심복합도시안(이하 행복도시안)의 핵심가치가 제외됐다며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는 더욱 심각해 질 것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오히려 행정기관 이전으로는 지역균형발전도, 수도권 과밀 해소도 달성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기업이나 대학을 유치해 일자리가 늘어나고 지역 경제가 살아나도록 하는 것이 지역균형발전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이미 행정기관이 이전한 과천의 경우에도 식당, 인쇄소 몇 개밖에 따라가지 않았다는 사실이 실례다.

이에 발전안은 세종시가 생산적인 도시가 돼 전국으로 그 파급효과를 전달, 실질적 균형발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첨단과학연구 거점 △첨단·녹색 산업 △우수 대학 △녹색도시 △글로벌 투자유치 기반 등 5대 자족기능 유치전략을 마련했다.

인구 50만 유입·일자리 25만개 창출로 실질적 균형발전 달성

발전안에 따르면 산업·상업 시설이 들어서는 자족용지가 6.7%(486만㎡)에서 20.7%(1508만㎡)로 기존보다 3배 정도 확대됐다.

정부는 확대된 자족용지에 과학비즈니스벨트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선도 사업(삼성, 한화, SSF 등 국내외 굴지 기업)을 유치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세종시에 약 25만개의 일자리가 마련되고 인구 50만명이 유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대학 등의 유치로 인해 유입되는 거점고용인구가 9만명, 이 거점고용인구 생활과 관련된 교육, 문화, 구매 등 분야에서 유발된 고용인구 16만명을 합쳐 25만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발전안은 세종시 자족용지를 행복도시안보다 3배 더 확대해 과학비즈니스벨트와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선도산업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정부는 세종시에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선도산업 등을 유치할 수 있도록 자족용지를 원안(전체 대비 6.7%)보다 3배 정도 확대했다.
정부는 세종시에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선도산업 등을 유치할 수 있도록 자족용지를 원안(전체 대비 6.7%)보다 3배 정도 확대했다.
 
이에 비해 행복도시안은 자족용지가 486㎡에 불과, 기업이나 연구소, 병원 등이 들어올 수 있는 땅이 부족하다. 이런 까닭에 총 인구유발 효과도 17만명에 지나지 않는다.

행복도시안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이 이전돼 거점고용 인구가 2만 9000명, 유발고용인구가 5만 5000명 정도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고용자 1인당 가구원수를 감안, 총 인구 약 17만명이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마저도 인센티브가 부족해 행복도시안은 중앙부처와 16개 연구기관 등 확정된 거점고용 1만 7000명으로는 10만명도 유입되기 힘들 수 있다.

정부는 구매·의료·교육 등에서 최상위 기능을 유치할 수 있는 인구 규모인 50만명이 유입돼야 세종시가 스스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자족도시로 발전할 수 있고 이로써 실질적 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정부 의지 확고
지역별 특성화 발전 전략 지속적으로 지원

정부는 그동안 추진해 왔던 ‘5+2광역경제권’, ‘30대 선도프로젝트’ 등을 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결해 각 지역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5+2광역경제권은 전국을 인구 500만명 이상의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동남권, 대경권 5대 광역경제권과 500만명 미만인 강원권, 제주권의 2대 특별경제권으로 나눠 지역 특색에 맞는 선도산업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정부는 지역별 선도산업에 맞춰 △인재 육성 △성장거점 육성 △광역기반시설 확충하는 등의 30개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세종시가 거점지구가 되는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세종-대덕-오송-오창을 연결한 C벨트와 서울-광주-강릉·원주-대구·부산 등 K벨트를 형성해 전국의 주요 분소를 띠처럼 연결한다. 이를 통해 세종시에서 이뤄지는 기초과학 연구개발(R&D)은 과학비즈니스벨트로 연결된 각 지역의 첨단융복합연구센터 분소와 각 광역경제권에서 목표하고 있는 선도산업과 프로젝트 등의 R&D와 연계돼 시너지효과를 내게 된다.

정부는 전국을 5+2 광역경제권으로 나눠 지역별 특화 산업을 육성하는 동시에 이를 통한 전국 동반 상승을 도모할 방침이다. 세종시를 거점으로 하는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지역별 선도산업을 뒷받침하는 기초연구 등을 제공, 응용·산업화에 힘을 실어줄 것이다.
정부는 전국을 5+2 광역경제권으로 나눠 지역별 특화 산업을 육성하는 동시에 이를 통한 전국 동반 상승을 도모할 방침이다. 세종시를 거점으로 하는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지역별 선도산업을 뒷받침하는 기초연구 등을 제공, 응용·산업화에 힘을 실어줄 것이다.

특히 정부는 과학비즈니스벨트를 통해 대학이나 기업 등이 수행하기 어려운 우주, 원자력, 핵융합 등 대규모·중장기 기초과학 연구를 중점 투자할 방침이다. 각 지역에서 추진 중인 선도·전략 산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기초과학 부분을 다진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남권의 신재생에너지, 친환경부품소재 △대경권의 그린에너지, IT 융복합 △강원 의료바이오, U헬스 등 지역선도산업이 세종시로 인해 타격을 입기보다 세종시 기초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응용·산업화에 더욱 힘이 실어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처럼 세종시를 산·학·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심장부로 만들어 세종시 발전효과를  전국이 누리도록 할 방침이다.

혁신도시·기업도시도 적극 육성

이와 함께 정부는 혁신도시와 기업도시의 자족성을 보완해 이를 지역 성장거점으로 육성시키기로 했다. 혁신·기업도시가 조기에 활성화될 수 있도록  원형지 공급 범위를 확대하고 분양가를 14% 인하할 방침이다. 또 혁신도시에도 세종시와 동일한 세제 감면 혜택을 부여하기로 했다.

지난 1월 현재 혁신도시로 이전(移轉)할 157개 공공기관 중 128개 기관의 이전계획 승인이 완료됐다. 이 가운데 100개 기관은 현 정부가 출범한 이후 이전계획이 승인됐다. 세종시로 인해 혁신·기업도시 사업 추진이 미뤄지고 있다는 우려와 달리 이 지역을 육성하려는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