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정애 의원 더불어민주당(서울 강서구병)

[전국뉴스 김진구 기자] 포스코 산하 사회적 기업에서 취약계층이 대대적으로 잘려 나가는 등 포스코가 당초의 설립취지와 달리 사회적 기업들을 파행 운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은 29일 고용노동부 소속 및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포스코 산하 사회적기업 송도SE 근로자 탈북의사 추락 사망산재, 성희롱 제소 등 최근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사고에 주목해 포스코 산하 사회적 기업들의 현황을 지적했다.

포스코의 사회적 기업 내에서는 취약계층에 대한 비인격적 대우, 부당노동행위, 성희롱 등 인권침해도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스코 산하의 사회적 기업에 포스코 출신자들을 대표, 임원으로 내려 보내 억대 연봉과 차량, 업무추진비를 지급하는 반면, 사회적 기업의 주축이어야 할 취약계층 직원들을 최근 1~2년 사이에 대량 해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사회적 기업에서는 이들이 전체 임금의 40%를 차지하는 기형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폐업 직전인 포스코휴먼스 스틸앤건축사업부는 경영실패 책임을 물어 퇴직한 사장에게 연봉 3억원의 80%를 지급하는 등 직원 전체 임금보다 전직 사장과 임원의 임금이 더 높았다.

또한 포스코가 송도SE와 포스플레이트의 경영권을 해당 지역의 인천YWCA와 광양장애인협회에 이미 3년전에 이관했지만, 이면계약을 통해 실질적으로 경영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포스코는 2010년을 전후해 인천, 포항, 광양지역에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며 취약계층에게 안정된 일자리를 보장한다는 언론홍보를 진행한 바 있다.

이후 2014년까지 5년간 이들 취약계층에 지급되던 국고지원금이 끝나면서 포스코는 경영악화를 이유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이들 사회적기업에서 대대적으로 인력감축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 지원금(최저 임금수준)을 지원받는 포스코휴먼스의 포스사업부(직원 380여명)와 출범 때부터 높은 사업성으로 사회적기업으로 규정하기에 적합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 포스플레이트를 제외하고 가장 열악한 송도SE, 포스에코하우징에서 많은 취약계층과 탈북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반면, 억대 연봉과 승용차 등 품위유지비를 지원받는 대표 및 임원진들은 그대로 남아, 포스코휴먼스 스틸앤건축사업부는 직원 10명이 남은 상황에도 억대 연봉의 임원이 근무하며 승용차, 업무추진비 등을 받는 기형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한 의원은 "포스코는 국고보조금 지원이 끝나자마자 이들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을 지속 줄이고 있다"며 "포스코가 미르재단에 30억원, K스포츠재단에 19억원, 청년희망펀드에 40억원 등 총 89억원을 쏟아 부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것이 과연 경영위기 때문에 취약계층까지 포함해 포스코와 전 계열사의 직원들을 정리한다는 기업이 취할 모습인지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전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