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한국은행)
[전국뉴스 = 임병연기자] 올해 3분기(7~10월) 가계빚이 사상 처음으로 1500조원을 돌파한 가운데, 이달 말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가계소득 증가율이 빚 늘어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서 가계의 부채 상환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아울러 전반적으로 빚 증가 속도는 둔화됐지만 은행권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이달 21일 발표한 ‘3분기 중 가계신용’이 따르면 3분기 말 가계신용은 1514조 40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지난 2분기보다 22조원(1.5%) 증가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신용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친 것으로, 가계 부채를 포괄적으로 보여 주는 지표다.

특히 지난해 3분기 1,400조원을 돌파한 지 1년 만에 가계부채가 다시 100조원가량 불어났으며,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1,427조7,000억원)은 석달 새 18조5,000억원, 판매신용(카드ㆍ할부금융사 외상판매, 86조7,000억원)은 3조6,000억원 각각 늘었다.

가계대출은 은행 주택담보대출(+14조2,000억원)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에는 일반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전세자금대출, 집단대출도 합산되는데, 3분기 증가분은 전세자금대출과 집단대출 위주로 늘었다. 금융당국 자료에 따르면 전세대출 및 집단대출 증가분이 3분기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의 70%가량을 차지한다.

상호금융 등 2금융권 집단대출 규제가 강화된 것도 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를 낳았다. 판매신용은 추석 연휴 전후로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늘어난 영향으로 2분기 증가분(2조1,000원)보다 1조5,000억 원 늘었다.

한은은 가계신용 증가 규모가 전분기(+24조1,000억원)나 전년동기(+31조4,000억원)보다 줄어든 점을 들어 가계빚 증가세가 둔화됐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가계대출 급등기였던 2015~17년의 3분기 가계신용 평균 증가액(30조5,000억원)에 비해선 8조원 이상 감소했다. 분기별 가계신용 증가율(전년동기 대비) 추이를 봐도 재작년 4분기(11.6%) 이후 7개 분기 연속 떨어지면서 올해 3분기(6.7%)엔 2014년 4분기(6.5%) 이래 최저치에 도달했다.

문제는 부채 상환 능력과 직결되는 가계소득의 증가 속도가 경기 부진으로 빚 증가 속도에 갈수록 뒤처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계소득 증가율의 대용지표인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전년동기 대비)은 지난해 3분기 5.2%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올해 3분기엔 -0.2%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GDI 증가율과 가계신용 증가율 격차는 지난해 3분기(4.3%포인트) 이후 4개 분기 연속 증가하며 6.9%포인트까지 벌어진 상태다. 더구나 가계대출 수요를 유발하는 주택 입주 물량은 연말까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실제 지난달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10조원 이상 늘면서 거의 2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가계 빚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1·2분기까지만 해도 전년 동기 대비 10%를 웃돌던 가계 신용 증가율은 올 1분기 8.0%로 떨어졌고 3분기엔 6.7%로 낮아졌다. 2014년 4분기 후 처음으로 6%대에 들어섰다.

특히 가계 소득 증가 속도에 비해 빚이 불어나는 속도가 여전히 빠르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가계 소득 증가율은 올 1분기 3.6%, 2분기엔 4.2%에 그쳤다. 3분기 역시 4% 안팎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가계 대출이 빠르게 늘다 보니 가구당 빚은 1년 만에 7150만원에서 7508만원으로 불어나게 됐다.

한편 이달 말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한 상황이어서 가계의 이자 부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권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 가계의 이자 부담은 2조3000억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