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가 1년 만에 검찰의 카카오톡 감청영장 집행에 응하기로 방침을 선회했다. (사진=모바일 화면 캡처)
[전국뉴스 장석진 기자] 카카오가 검찰의 감청영장에 제한적으로 응하기로 1년 만에 방침을 바꾸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카카오의 지난 1년은 부침의 연속이었다. 지난해 10월 1일 다음 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가 합병하면서 출범한 다음카카오는 불과 1년 만에 '다음' 색을 빼고 모바일 몸집을 키워 카카오로 다시 태어났다. 지난 1일에는 30대인 임지훈 씨를 신임대표로 선임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그 사이 카카오를 덮친 풍파도 만만치 않았다. 카카오가 검찰의 감청영장에 제한적으로나마 응하기로 결정한 것은 그간 쏟아진 수많은 공격에 카카오가 결국 항복했다는 분석이 있을 정도다.

이석우 전 카카오 공동대표는 지난해 10월 13일 기자간담회에서 검찰의 카카오톡 감청영장에 응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카카오톡 사찰 논란이 발생하면서 보안을 앞세운 텔레그램으로 이용자가 이동하는 '사이버 망명'이 대대적으로 이뤄진 것에 대한 수습책이었다.

카카오가 선언한 조치에 김진태 검찰총장은 같은 달 23일 열린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다른 압수수색에선 문을 안 열어주면 열쇠공을 불러 문을 열고 들어간다"며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그러던 중 지난 6일 김 총장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대검 국감에서 카카오와의 감청 문제에 대해 "양 기관이 원만하게 제대로 집행하는 걸로 방법을 찾았다"며 카카오의 방침 선회를 밝혔다.

이렇게 되기까지 카카오는 대표의 경찰 조사, 기습 세무조사, 국감 증인 출석, 이사회 의장의 원정도박 의혹 내사 등 수많은 파도를 겪어야 했다.

이석우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대전지방경찰청에서 카카오그룹이 음란물 유포를 방치했다는 혐의로 경찰 조사를, 지난달 8일에는 같은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

이 전 대표가 받고 있는 혐의로 온라인 서비스 업체 대표가 조사를 받은 것은 처음이어서 '표적수사, 망신주기'라는 지적이 있었다.

올해 6월에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경기 성남시 판교에 있는 카카오 판교사무소로 들이닥쳤다. 조사4국이 특별 세무조사를 담당하는 곳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탈세나 계열사 부당지원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조사라는 추측도 있다.

이재웅 다음 창업자는 기습 세무조사에 대해 SNS에 "뭔가 잘못한 게 있으면 당연히 조사받고 세금을 내야겠지만 왜 다음과 다음카카오 세무조사는 광우병 첫 보도 25일 후 세월호 사건 10일 후 그리고 그게 마무리된 지 1년도 안 돼서 메르스 발병 26일 후에 실시할까"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카카오는 지난달 10일부터 진행된 국토교통위원회, 정무위원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카카오택시, 포털 독과점 문제, 유사언론 행위 등에 대해 증언했다.

특히 새누리당은 포털이 중립성을 잃고 선정적으로만 편집한다며 카카오를 정조준 했고, 이에 카카오는 "선정성 여부를 포털이 일방적으로 규정할 수 없으며, 제목은 언론사가 정하는 것"이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카카오 홍보팀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한다'는 의견과 '중범죄 등 사회 문제가 있는 상황에서는 통신 제한 조치에 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우리가 감청영장에 익명화 방식으로 응하기로 한 결정은 두 의견의 균형점을 찾은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이번 결정이 세무조사나 대표 조사 등과는 전혀 관계없다"며 압박에 의한 결정이라는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한편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에서 해외 원정도박 의혹에 대해 내사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김범수 의장의 내사와 관련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