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윤기 논설위원[출처=전국뉴스]
민윤기 논설위원[출처=전국뉴스]

[전국뉴스 ] 4차 산업혁명은 2016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 현재 이후를 4차산업혁명으로 명명하면서 촉발되었다(WEF, 2016). 1, 2차 산업혁명이 증기와 전기의발달로 인한 사회 변화라면 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이 산업과 사회 구조를바꾸는 동력으로 이는 4차 산업혁명까지 이어진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4차로 규정지을 필요가 없다고 말하지만, 기술 발달의 폭과 깊이, 그 속도가 매우 급격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것이라는 예측 속에 4차라고 하는 패러다임 변화가 호응을 얻은 것이다. 그렇다면 기술의 발달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이를 통해 사회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술의 발달은 이미 알파고에서 확인하였듯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며, 그 외에도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 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ICBM 등의 지능정보기술을 동력으로 한다.

사물인터넷은주변의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기술로, 전형적인 제조업으로 분류되던 자동차도 기술이 접목되어 자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첫 번째 예측되는 사회변화로는 초지능적인 사회로 알파고처럼 기계가 인간처럼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능적인 서비스가 확대되는 사회이다. 이미 나타나고 있는 로봇 기자, 로봇 의사, 로봇 펀드매니저처럼 인간의 단순 반복적 업무는 물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예측과 추론, 때로는 문제해결 방안까지 제시하는 서비스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는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이며 융합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교육적 측면에서 본다면 기계와 공존하는 사회에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인간성의 회복이다. 기계를 다룰 줄 알고, 기계가 인간에게 해 줄수 있는 서비스를 오히려 인간이 기획하고 설계하면서 주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예측되는 사회 변화로는 초연결사회로의 변화이다. 이는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와의 연결, 사물과 인터넷의 연결, 인간과 인간의 연결이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되는 사회 변화이다. 포켓몬고와 같은 게임은 현실세계에서 가상의 포켓몬을

잡는 게임이고, 이미 주변에 있는 냉장고, 램프, 보일러 등이 인터넷과 연결되어 먼 거리 에서도 작동되거나 반응하고 있다. 초연결사회를 바라보는 교육적 관점은 현실과 가상세계에 대한 정체성 확립과 새로운 윤리관의 확립이다. 초연결되는 사회적 경험이 교육에도 적용 되어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학습 경험과 기회를 확대해야 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는 전통적 학습관의 탈피이다.

결론적으로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과 ICBM 등 고도화된 지능정보기술을 동력으로 한 초지능, 초연결사회로의 변화이다. 이는 다가올 변화가 아니라 이미 시작된 것으로 인지 되어야 하며 충격과 위협, 두려움의 요인으로 간주되어서도 안된다. 그러기에는 그 속도가 급격하고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여 현재의 교육 체제로 인재 양성을 하게 되면 국가적 경쟁력은 현저하게 낮아질 것이라는 인식하에 교육 혁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다.

저작권자 © 전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